본문 바로가기
아푸로맨의 자본주의 생존기/돈이 되는 금융

퇴직금 세금 정말 쉽게 알아보기

by AFROMAN 2023. 1. 7.
반응형

퇴직금 세금 정말 쉽게 알아보기

직장을 다니는 분들이라면 언젠가는 퇴직을 앞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당장 일어날 일이 아니기 때문에 평소에 관심을 가지지 못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일한 연수에 대한 보상이라고 할 수 있는 퇴직금은 비교적 액수가 큰 목돈이기 때문에 

  • 바로 찾아 쓸 것인지
  • 퇴직연금에 넣고 연금으로 받을 것인지

에 대해서는 미리 계획하는 것이 당연히 좋을 것입니다.

더불어, 퇴직금에 붙는 세금이 얼마인지 계산을 해봄으로써 실제적으로 내 손에 들어오는 금액을 미리 가늠해보는 것 역시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퇴직금 세금은 얼마나?

퇴직금을 많이 받을수록 더 많은 세금을 내는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우선, 국세청에 명시되어 있는 퇴직금에 대한 세금을 계산하는 방법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보다 명확하게 이해를 하기 위해 다음을 가정해 보겠습니다.

계산하는 순서대로 따라오시기 바랍니다.

- 퇴직금으로 받은 금액 = 5천만 원
- 일한 기간 = 10년

1. 퇴직소득금액

퇴직금으로 받은 금액 = 퇴직금 = 퇴직소득금액

즉, 퇴직소득금액은 5천만 원이 되겠습니다.

2. 근속연수공제

공제를 해줍니다. 즉, 5천만원이 아니라 일한 기간에 따라 일부 금액을 빼준다는 의미입니다.

이를 근속연수공제라고 합니다.

10년 동안 회사 다닌 것을 가정했으므로 공제하는 금액은

150만 원 + (10년 - 5) x 50만원 = 400만 원

퇴직 세금을 내야 할 대상은 퇴직금으로 받은 총금액인 5천만 원 아니라
여기서 400만 원을 뺀 46백만 원이 되겠습니다.

3. 환산급여

위에서 계산한 값을 토대로 환산급여 계산합니다.

환산급여 = (46백만 원/ 10년) x 12 = 5,520만 원

 

4. 퇴직소득과세표준

세금을 결정하는 소득이 되는 과세표준을 계산합니다.

퇴직소득과세표준 = (환산급여 - 환산급여공제) = 5,520만 원 - 3,632만 원 = 1,888만 원

1) 환산급여는 위에서 계산되었습니다. 5,520만 원

2) 환산급여공제는 다음식으로 계산합니다.

환산급여공제 = 8백만 원 + (5,520만 원 - 8백만 원) x 60% = 3,632만 원

 

5. 환산산출세액

1,888만 원 x 세율 15% - 누진공제 108만 원 = 1,752,000원

6. 산출세액 

(1,752,000/12) x 10년 = 1,460,000원

 

정말 긴 과정이었습니다. 결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10년 동안 일한 뒤 퇴직금을 5천만 원 받으면
세금으로 1,460,000원을 내게 됩니다.


간단히 계산 좀?

바쁜 세상입니다. 위에서처럼 계산할 수도 계산하기도 귀찮아집니다.

그래도 아직 포기하기는 이릅니다.

다음 자료를 통해 직관적으로 간단히 퇴직금에 대한 세금을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퇴직금계산기 바로가기

 

간단하게 바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는 다른 글들

1. 종합소득세 신고대상 정리

 

종합소득세 신고대상 정리

종합소득세 신고대상 정리 사업을 하시는 분들은 이맘쯤 되면 머리가 복잡해지기 시작합니다. 바로 5월부터 있는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이 다가오기 있기 때문입니다. 세금이라는 게 내일이 아니

happyhappytech.tistory.com

2. 퇴직연금 수령방법

 

퇴직연금 수령방법

퇴직연금 수령방법 매일 그 힘든 출근과 퇴근을 하고 계신 위대한 근로자 분들을 위해 이 글을 씁니다. 퇴직금은 직장인의 마지막 목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몰지각한 사업주 때

happyhappytech.tistory.com

3. 퇴직연금 제도를 도입하면 이런 점이 좋습니다.

 

퇴직연금 제도를 도입하면 이런 점이 좋습니다.

퇴직연금 제도를 도입하면 이런 점이 좋습니다. 퇴직연금 제도 많이 헷갈리시죠? 막상 관심을 가지려고 해도 용어가 어려워서 쉽게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는 퇴직금과 퇴직연금. 딱

happyhappytech.tistory.com

반응형

댓글